Home
레몬베이스 팀 알아보기

Product Designer 자주 묻는 질문

레몬베이스 Product Designer 포지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아래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여기에 적힌 내용 외에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start@lemonbase.com으로 문의해 주세요

Q. 디자인 챕터의 문화와, 챕터의 일하는 방식이 궁금해요.

디자인 챕터는 레몬베이스 팀이 최고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돕는 커뮤니티가 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활동을 주기적으로 가지고, 또 계획 중에 있습니다.
레몬베이스 제품 디자인 원칙 정의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스쿼드 사일로 방지를 위한 주간 업무 공유 시간
레몬베이스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한 정기 크리틱 시간
월말 팀 회고 및 회식
분기 별 팀 워크숍 진행
품질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UT, 설문조사 등 정성/정량적인 데이터 환경 구축, 운영, 스터디
PD 역량 기반의 구조적인 피드백 설계
스무스하게 온보딩할 수 있도록 온보딩 프로세스 설계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Product Design Lead Hay의 인터뷰를 참고해주세요!

Q. 디자인 시스템이 갖춰져 있나요?

네, 21년도부터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 LDS(Lemonbase Design System) 길드 조직이 따로 생겨났습니다.
다만 아직 작은 팀이기에 전문적으로 디자인 시스템만 하는 인원은 없어요.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프론트 엔지니어 모두가 들어와있는 상태에서 최소한의 필요한 요소들만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발전키시고 있는 상태입니다.

Q. 레몬베이스에서 사용하는 툴이 궁금해요.

디자인 툴은 ‘Figma’를 사용하고 있어요.
협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툴은 ‘Google Workspace, Slack, Notion, Jira, Zoom’ 등을 사용하고 있어요.
데이터는 ‘Hotjar, GA, Redash, Amplitude’ 툴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이 외에도 각 팀에서 다양한 툴을 활용하고 있고요. SaaS 서비스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SaaS 사용을 지원합니다.

Q. 레몬베이스는 스쿼드 조직으로 일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제가 합류하게 된다면 어떤 스쿼드에서 어떤 문제를 풀게 되나요?

지금은 바로 합류하는 스쿼드를 정해놓고 모시고 있지 않아요.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새로운 스쿼드가 생겨나게 되는데요, 그때 새롭게 합류하거나 내부 논의를 통해 디자이너들끼리 스위칭이 되기도 합니다. 온보딩 과정에서 리더분들과 합의하여 가장 적합한 스쿼드에 배치가 될 예정이에요.

Q. 기획자 또는 프로덕트 오너와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이 어떻게 다른가요? 어느 정도의 R&R과 권한을 갖고 있는지 궁금해요.

프로덕트 오너는 시장의 어떤 문제부터 풀어야 하는지 제품의 비즈니스 임팩트를 고민한다면, 디자이너는 제품을 사용자가 잘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고민해요. 사용자 관점으로 쉽고 편리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을 만들어 비즈니스 임팩트를 내는 것에 기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는 제품의 사용자 경험에 대해 권한과 책임을 가지게 됩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Hay와 Redi의 인터뷰를 참고해주세요!

Q. 2023년, 레몬베이스 디자인 챕터만의 목표와 주요한 과제는 무엇인가요?

레몬베이스 제품 디자인 원칙 수립
제품을 설계할 때 필수로 지켜야 하는 원칙들을 정의해두고 이것을 기반으로 서로의 디자인에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레몬베이스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일관성 있게 맞춰가려고 해요.
디자인 시스템을 통한 제품 레이아웃 구조 변경
제품의 다양한 기능들을 담아내기 위해 디자인 일관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제품 레이아웃 구조 변경을 기획하고 있어요.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Hay의 인터뷰를 참고해주세요!

Q. 어떤 경험과 역량을 가진 팀원들이 있는지 궁금해요.

현재 레몬베이스 프로덕트 디자인 챕터는 총 3명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구성되어 있어요. 아직 작은 팀이지만, 배민/토스/리멤버/PXD 등 최고 수준의 회사에서 풍부한 경험과 강점이 뚜렷한 분들이 모여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한혜수 (Hay) 프로덕트 디자인 챕터 리드  링크드인 프로필
처음에는 성과관리라는 말부터 생소했지만, 그 생소함이 지금은 새로움과 도전으로 느껴져요. 누구도 가지 않은, 우리만의 길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게 재미있고요!
신유경 (Redi) 프로덕트 디자이너  링크드인 프로필
고객의 문제 앞단부터 문제 해결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미친 오너십을 가지고 임팩트를 내고 싶은 분들! 여기 '레몬베이스'에서 함께하시죠
정다영 (Dayle) 프로덕트 디자이너  링크드인 프로필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가 있어야 할 조직을 아주 신중하게 고릅니다. 1년 넘게 제 판단이 틀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신하며 일하고 있습니다.

Q.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까요?

최근 2년 안에 주도적으로 기여한 프로젝트를 최대 3개 정도만 구성해주세요. 현재 레몬베이스 서비스는 모바일 보다는 웹 기반 작업이 많기 때문에, 웹 작업이 있다면 꼭 넣어주세요! (웹 작업이 없어도 지원하시는 데 문제는 없습니다.)
프로젝트는 문제 발견 → 문제 정의 → 문제 가설 → 문제 해결 과정 → 문제 결과 검증 및 배운 점 → 다음 개선 방향 등 지원자 분의 사고의 흐름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구성해주세요.
프로젝트가 다 성공적일 수 없을 거예요. 성과가 잘 나오지 않았지만, 지원자 분이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 점이나 인사이트가 있다면 그 내용을 구성해주세요. 또한 제약 조건이 없다면 다음 개선 방향을 어떻게 개선해볼 수 있을지를 적어주셔도 좋습니다.

Q. 이전에 지원했다가 불합격한 적이 있어요. 재지원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재지원은 결과 통보일 기준 6개월 이후부터 가능하며, 지난 기간 동안 어떤 성장을 하셨는지에 대해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에 기재해 주시면 더욱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