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몬베이스가 리뷰(평가)하는 법

레몬베이스는 지속적인 성과관리(CPM)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팀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모든 크루는 기대치를 설정한 후 얼라인하고, 리뷰를 통해 정기적으로 성과를 회고하고 있어요. 

이 과정은 모두 레몬베이스 제품을 통해 이루어지는데요, 레몬베이스의 평가 방법을 소개합니다.


1️⃣평가 시기

  • 레몬베이스는 1년에 두 번, 상반기 리뷰와 하반기 리뷰를 진행합니다. 리뷰 결과에 따른 연봉 조정은 1년에 한 번 이뤄지고 있어요.
  • 전사적인 OKR 목표 사이클도 반기 단위로 운영하고 있기에, 사전에 나에 대한 기대치를 리드와 정확히 맞추고 평가와 보상을 소통할 수 있습니다.

2️⃣평가 항목 및 등급

  • 평가 항목은 성과 및 임팩트 기여도팀워크 및 핵심가치 기여도총 2개로 구분됩니다.
    • 지나치게 결과 중심으로만 평가할 경우, 지표에 대한 왜곡이 발생하기도 하고, ‘운에 따른 성과’를 구분하지 못합니다. 반대로 결과가 아닌 과정만 강조해도 문제가 생기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종 평가 항목에서 결과(성과 및 임팩트)와 과정(팀워크 및 핵심가치)을 구분해서 등급을 결정하고 있어요.

  • 평가 등급은 총 5단계로, Outstanding에서 Below Expectations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로 등급이 부여됩니다.
    • 중간 등급인 Meet Expectations가 “기대를 꾸준히 충족하며, 종종 초과 달성함”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기대치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3️⃣평가 방법

1. 리뷰 작성

  • 평가 시즌이 되면 레몬베이스의 ‘리뷰’ 기능을 통해 셀프리뷰, 동료리뷰, 하향리뷰를 작성하게 됩니다.
    • 셀프리뷰: 스스로 지난 6개월 동안의 스스로의 성과 및 기여도를 돌아보며 회고하는 리뷰입니다.
    • 동료리뷰: 동료의 몰입과 동기부여, 발전적 피드백을 위해 리뷰를 작성합니다. 이를 통해 공정한 평가를 위해 꼭 요구되는 다양한 관점을 확보할 수 있어요.
    • 하향리뷰: 직속리드가 크루의 성과와 기여도에 대해 리뷰를 작성합니다.


2. 캘리브레이션

  • 하향리뷰 작성이 끝나면, 평가권자(그룹 리드, 스쿼드 리드, 챕터 리드)가 모여 캘리브레이션 미팅을 진행합니다. 주요 평가권자는 스쿼드 리드와 챕터 리드로, 함께 일한 리드가 실제 업무 현장에서의 성과와 태도를 면밀하게 관찰하고 평가해 객관성을 높이고 있어요.
    • 캘리브레이션 미팅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이 링크를 확인해 보세요.

*레몬베이스의 '캘리브레이션' 기능으로 진행해요.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 이미지입니다.

3. 최종 등급 및 피드백 공유

  •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직속 리드와의 1:1 미팅을 통해 최종 등급정성적 피드백을 공유받습니다.
  • 이 과정에서 지난 기간의 성과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고, 레몬베이스의 개인별 결과지를 통해, 나의 강점보완하면 좋을 점을 알 수 있어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레몬베이스의 People&Culture팀은 레몬베이스 팀이 더 고성과 팀이 될 수 있도록, 그리고 크루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습니다. 레몬베이스에서 체계적으로 성과를 돌아보고 다양한 관점의 피드백을 받으며 성장하고 싶다면, 레몬베이스의 문을 두드려 주세요!


레몬베이스가 평가 제도를 리뉴얼하며 고민한 과정이 궁금하다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레몬베이스 평가 제도, 어떻게 달라졌을까요?